카페 검색 차단, 카페 품질 테스트
카테고리 없음
한동안 파견 프로젝트를 담당하다 보니 카페 관리를 못했다.
방문자만 줄어든게 아니라 카페에 등록한 글이 검색 조차 되지 않는다면 난감할 노릇
1차 검색 - 카페 에 등록한 글을 검색해 보았다.
검색 결과에 운영중인 카페가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
2차 검색 - 카페에서 직접 작성한 글 내용 일부를 복사해서 검색해 보았다.
여전이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는다.
유사한 경험을 가진 카페들이 많은 듯
관련 키워드로 검색을 해 보니 카페 품질 관리와 관련된 글들이 많다.
심지어는 품질 관리 테스트나 상담을 통해 비용을 받고 카페 관리를 해 주는 업체도 등장 하였다.
사실, 품질관리 테스트라고 해 봤자 카테고리에 정상적인 데이터가 있는지
스크랩 데이터를 노출하고 있는지 검색이 정상적으로 되는지 등을 테스트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스크랩 데이터가 많은 카페가 품질관리 대상 카페가 된다는 의견들도 있다.
이러한 것들은 운영자가 콘텐츠 등록 방법을 바꾸면 해결되는 일이지만
검색은 얘기가 다르니 직접 검색 결과를 통해 내 카페가 정상적으로 검색이 되고 있는지 확인 해 볼 필요가 있다.
카페 운영이 친목을 위한 목적으로 운영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유익한 정보의 공유를 통해
관련 분야 네트웍을 형성하고자 함일 것이다.
그런데 검색 조차 되지 않는다면 힘들게 콘텐츠를 작성하여 카페에 등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다.
회원수가 500명 이하 카페의 회원을 폐쇄 목적으로 강제 탈퇴 하고 카페 몇 개를 폐쇄하였다.
카페에 많은 데이터를 올리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등록한 데이터가 검색이 되지 않는다면
카페 등급이 낮게 책정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 테스트 ...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옵션을 바꿔 검색 했을 경우 검색이 되었다.
네이버 검색은 관련도 높은 순 검색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직접 작성한 글 내용을 복사하여 검색 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도 높은 글 상위에 노출 되지 않는다.
오히려 관련도 적은 내용이 작성된 인기 카페들이 상위에 노출된다.
검색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 분명 글 내용 이전에 카페 등급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 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카페 좌측 상단의 통계를 클릭 해 보면 월간, 주간, 일간 방문자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방문자 중 회원과 비회원이 구분되어 있어 검색에 의한 방문인지 글 등록 메시지 노출에 의한 방문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동안 관리하지 못하던 카페에 하루에 40여개 이상의 콘텐츠를 등록해 보았다.
여전히 검색 결과에 40여개의 글은 보이지 않는다.
다음 날 테스트 해 보아도 마찬가지다.
카페와 블로그 운영을 중단했던 기간은 비슷하며
지금 올리는 글은 블로그 검색 결과 차단을 테스트하기 위한 글이다.
검색을 통해 이 글을 보고 있다면 블로그는 카페와 다은 정책으로 검색 필터링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궁금한 것은 카페별로 검색 결과를 차단하는 것인지 매니저 계정에 물려있는 카페 검색을 차단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보고 있는 블로그 계정으로 운영중인 카페 모두가 검색 결과 차단이 되어 있으니
네이버 카페를 지인에게 양도하여 테스트 해 볼 예정이다.